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보기
loading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보기

반응형

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경제 정책방향에 따르면 민생경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심화 될거라 예상합니다.

 

아래 자료를 참고 하셔서 꼭 ! 내년을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1. 2023년 경제정책방향.pdf
2.44MB

 

 

 

2023년에는 주요국의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인해 유럽 에너지 수급불안 등으로 세계경제 성장세가 크게 약화 될 전망입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성장 부진이 이어지다가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인상 영향이 완화 되면서 회복 흐름이 예상됩니다. 많이들 걱정하시는 물가의 흐름 또한 오름세가 점차 둔화되겠으나 그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3년 상세 경제 전망을 크게 경제 성장,고용, 소비자물가로 살펴 보겠습니다.

 

 

2023년 주요 경제정책 모음 바로가기

 

1. 경제 성장

 

1)민간소비 '22년 4.6%, '23년 2.5% 증가 전망

 

○('23년) 소비 회복 흐름은 이어지겠으나, 증가세는 둔화 전망■ 코로나 이후 누적된 가계 저축 여력이 잔존하는 가운데, 각종 문화■ 스포츠 행사 및 해외여행 재게 등이 소비 회복 견인 

--> 다만, 금리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고용 둔화 및 자산가격 하락 영향 등이 회복세를 제약

 

 

2) 설비 투자 '22년 △1.8%, '23년 △2.8% 감소 전망

 

○('23년) 글로벌 경기·반도체 업황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 금리 상승 영향등으로 투자 위축 전망■  IT 부문 투자는 글로벌 수요 둔화, 재고 증가 등으로 부진 지속

■투자자금의 차입 의존도 높은 기계·철강 산업 등도 자본 조달 비용 상승 등이 투자 여력을 제한

■다만, 친환경 자동차·배터리 등 신산업 부문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 흐름은 지속될 전망

 

3)건설투자 '22년 △3.0%, '23년  △0.4% 전망

 

○('23년) 부동산 경기 위축, 자금조달 애로 등으로 부진 지속 전망

■건물: 주택수요 둔화 및 미분양 재고 증가, 건설사 자금 조달 애로 등이 주거용 건물 투자 회복을 제약할 전망- 상업용·공장등 비주거용 건물도 경기둔화, 설비투자 위축 영향 등으로 개선에 한계

■토목: 자재가격 상승세 둔화, 민자사업 확대, 반도체 단지조성* 등으로 완만한 개선 흐름 전망

 

 

4) 지식재산물 투자 '22년 4.8%, '23년 3.3% 증가 전망

 

○('23년) R&D 예산 확대, 견조한 소프트웨어 투자수요 등은 긍정적 요인이나,경기 둔화 등이 민간 R&D 투자 제약 전망

*R&D예산 규모(조원): ('21년) 27.5('22년)

29.5<+8.8%> ('23년<정부인>) 30.7<+3.0%>

→'22년은 높은 증가세(4.8%) 지속, '23년은 기업실적 악화 등에 따른 민간부문 R&D 투자여력 축소 등으로 증가세 다소 둔화(3.3%) 전망

 

 

5) 수출입(통관)) 수출 '22년 6.6% 증가, '23년 △4.5% 감소 수입 '22년 19.2% 증가, '23년 △6.4% 감소 전망

 

ㅇ ('23년) 글로벌 교역 및 반도체 업황 위축 등으로 감소 전망
* ’22→’23년 반도체 매출전망(%, WSTS) : (전체) 4.4 →△4.1 (메모리) △12.6 →△17.0
▪ 선박・친환경차・이차전지 등은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겠으나, 반도체・석유화학 등 주력품목 중심의 수출 부진 예상
▪ 다만,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 및 반도체 업황 개선시 우리 수출도 점차 회복될 가능성 

 

 

2. 고용 

취업자수는 '22년 81만명, '23년 10만명 증가 전망
 
ㅇ ('23년) 금년 이례적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경기둔화 영향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대비 상당폭 둔화 전망
▪ 코로나 방역・보건 일자리 감소 등도 고용 하방요인으로 작용
▪ 다만, 통계적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실제 고용상황 보다 취업자 증가세 둔화폭이 크게 나타나는 측면 * 금년 장기 추세를 큰 폭 상회했던 고용 흐름이 추세 수준으로 복귀하는 과정
▪ 고용률(15~64세)은 인구감소 영향으로 금년 보다 소폭 상승 (68.5 → 68.7%)하겠으나, 실업률도 소폭 상승(3.0 → 3.2%) 전망

 

3. 소비자물가 

 

소비자물가는 '22년 5.1%, '23년 3.5% 상승
ㅇ('23년) 소비자물가는 둔화 흐름을 이어가며 금년(5.1%) 보다 상당폭 낮아진 3.5% 상승 전망
▪ 유가·곡물가격 등 국제원자재 가격이 금년보다 낮아지고, 수요측 상방압력도 완화 예상
* 국제유가 전망($/B, 두바이유) : (’22) 96 내외 → (’23) 88 내외
▪ 다만, 전기・가스요금 현실화 등 공공요금 상방압력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원자재가격 관련 불확실성도 지속 가능성

 

 

반응형